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관동맥질환의 개요 죽상경화증과 동맥경화증은 엄밀히 말해 서로 다른 병적 상태입니다. 죽상경화증은 주로 내막에 죽상반이 발생하여 혈관내경이 좁아지는 국소적인 현상으로, 이로 인해 혈류의 장애가 발생하여 심근, 뇌, 사지 등에 허혈증상이 나타납니다. 반면 동맥경화증은 주로 중막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서 섬유화가 진행되고 혈관의 탄성이 감소하여 수축기 혈압이 상승하는 전반적인 현상으로, 이로 인해 임상적으로는 심실비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질환은 발생 메커니즘과 임상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죽상동맥경화증의 발생 죽상반의 섬유덮개에 미란이 발생하면, 해당 부위에 혈소판이 풍부한 혈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런 혈전은 섬유덮개의 손상이 더 진행되어 죽상반이 파열되면 죽상반 내의 조직인자가 흘러나와 .. 간호학 2024. 3. 10.
소아 심혈관질환의 영상진단 정상 단순 흉부 X선 사진 소견 흉부 X선 사진에서 심장의 크기, 모양, 폐혈류량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심장 모양은 구형 또는 삼각형입니다. 심장의 크기를 알기 위해서는 심장의 최대 횡경을 흉강의 횡내경으로 나눈 심흉비를 측정하나 가슴샘이 중첨되어 심장의 실제 음영을 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심흉비 비율이 영아에서는 정확한 지료가 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심흉비는 60% 이상도 정상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아는 60% 이하입니다. 선천성 심질환의 영상진단 1) 선천성 심질환의 분류 선천성 심질환은 청색증의 유무에 따라 분류됩니다. 전신순환을 거친 산소가 적은 정맥혈이 폐를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으로 들어가는 경우를 우좌단락이라 하며, 이로 인해 청색증이 발생합니다. 이 질.. 간호학 2024. 3. 10.
후천성 심혈관질환의 영상진단 판막질환 1) 승모판협착증 승모판협착증이 있으면 흉부 X선 사진에서 심장확장은 뚜렷하지 않습니다. 좌측 심장윤곽에서 폐동맥과 좌심방 부속기가 볼록하게 보이며 좌심방확장 소견이 보입니다. 승모판막 혹은 판막하구조의 석회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폐정맥압이 증가하면 모세혈관 후 저항이 증가되어 폐혈관의 상부혈관이 확장되는 두향화가 일어나고, 폐 기저부의 바깥에 늑막에 이어지는 수평의 짧은 소엽간격선, 즉 Kerly B선들이 나타납니다. 2) 승모판폐쇄부전증 만성 승모판폐쇄부전증의 흉부 X선 사진에서는 좌심방과 좌심실이 모두 확장된 'big heart' 소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승모판 고리에 석회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대동맥판협착증 흉부 X선 사진에서는 심장의 크기가 정상이거나 약간 커지는 것보다는.. 간호학 2024. 3. 9.
허혈성 심질환의 영상진단 관동맥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영상을 이용한 심장부하 검사가 필요한 환자는 다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정 시 심전도에 이미 ST분절의 변화가 있어 운동 부하에 따른 ST분절의 변화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완전 좌각차단, 전기적으로 조율되는 심실리듬, 조기 흥분증후군, 긴장형 ST분절 하강을 동반한 좌심실비대),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에 충분한 강도로 운동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전에 혈관재개통술을 받은 환자에서 허혈이 발생한 위치, 심근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는 경우입니다. 부하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운동이나 약물을 이용하고, 환자들이 적절한 수준의 심혈관 부하 상태에서 6~12분간 운동할 수 있으면 약물부하보다 운동부하를 이용한 검사가 더 선호됩니다. 관동맥 협착의 평가는.. 간호학 2024. 3. 9.
심혈관질환의 증상 심혈관질환의 주요 증상들로는 호흡곤란, 흉통, 심계항진, 기침, 객혈, 부종,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심혈관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환자가 먼저 자신의 증상을 말하도록 하는데, 이는 환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듣는 것으로 단점은 있지만, 환자의 의견을 듣고 공감함으로써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사는 환자의 주관적인 불편감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환자의 증상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심혈관질환의 주요 증상들을 잘 이해하고, 환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환자의 면담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환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적절한 질문을 통해 환.. 간호학 2024. 3. 9.